반응형
[2025 전기기사 필기] 전선 굵기 계산, 허용전류 vs 전압강하 암기법 정리
빠른 이동 링크
전선 굵기 계산의 두 가지 목적
전기기사 필기시험에서 전선 굵기 계산 문제는 단골입니다.
그런데 조건이 두 가지라 처음엔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.
- 허용전류 조건
- 전선이 과열되지 않도록 굵기를 정하는 기준
- 설비가 사용하는 전류를 기준으로 선정함
- 전압강하 조건
- 부하 말단까지 전압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제한
- 선 길이와 부하전류, 허용 전압강하율 고려
허용전류 vs 전압강하 비교표
항목 | 허용전류 기준 | 전압강하 기준 |
---|---|---|
목적 | 과열 방지 | 전압 손실 방지 |
적용 상황 | 모든 회로 | 주로 길이가 긴 회로 |
계산 요소 | 사용전류, 온도 | 전류, 길이, 전선 저항 |
기준 방식 | 허용전류표 참고 | % 전압강하율 기준 |
공식 예시 | I ≤ 허용전류 |
ΔV = 2 × I × L × R |
암기법: 외우는 문장
두 조건을 쉽게 구분하는 암기문장을 알려드립니다.
“허용은 뜨거워서, 강하는 멀어서”
- 허용전류 → 열 때문 (과열 방지)
- 전압강하 → 거리 때문 (길어질수록 전압 손실 큼)
또는
“허용은 열, 강하는 길”
간단하지만 문제 풀 때 생각나는 문장입니다.
기출문제 실전예시
[2022년 전기기사 필기]
전선의 굵기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 부하전류에 따른 허용전류
- 전압강하율
- 부하설비의 역률
- 부하전류에 따른 온도상승
정답: 3번
역률은 전선 굵기 계산 조건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.
실전 팁 요약
- 전선 굵기 계산은 두 가지 조건 중 더 큰 굵기를 선택
- 시험 문제에서는 “두 조건 중 적절하지 않은 것” 유형이 자주 등장
- 전기설계 실무에서는 길이가 긴 회로는 전압강하 조건이 더 우선되는 경우도 많음
다음 글 예고
→ 변압기 손실 공식 총정리: 철손, 동손, 부하손 암기법까지 정리
반응형
'자격증 > 전기(산업)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 전기기사 필기] 차단기 정격조건 암기법: 정격전류·차단전류·투입전류 총정리 (0) | 2025.05.02 |
---|---|
[2025 전기기사 필기] 변압기 손실 공식 암기법: 철손·동손·부하손 완전 정리 (0) | 2025.05.02 |
[2025 전기기사 필기] 과전류차단기 조건? 숫자 3개로 정리 끝 (0) | 2025.05.02 |
전기(산업)기사 필기 꿀팁: 절연유 조건? 점절인고석화면 끝난다 예시문제포함 (0) | 2025.05.02 |
SOL VALVE 솔레노이드 밸브 고장 원인 TOP 5 2025년 최신 진단법과 해결방법 (0) | 2025.04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