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격증/전기(산업)기사

[2025 전기(산업)기사 필기] 전선 굵기 계산, 허용전류 vs 전압강하 암기법 정리

by 햄부기햄 2025. 5. 2.
반응형

[2025 전기기사 필기] 전선 굵기 계산, 허용전류 vs 전압강하 암기법 정리

빠른 이동 링크


전선 굵기 계산의 두 가지 목적

전기기사 필기시험에서 전선 굵기 계산 문제는 단골입니다.
그런데 조건이 두 가지라 처음엔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.

  1. 허용전류 조건
    • 전선이 과열되지 않도록 굵기를 정하는 기준
    • 설비가 사용하는 전류를 기준으로 선정함
  2. 전압강하 조건
    • 부하 말단까지 전압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제한
    • 선 길이와 부하전류, 허용 전압강하율 고려

허용전류 vs 전압강하 비교표

항목 허용전류 기준 전압강하 기준
목적 과열 방지 전압 손실 방지
적용 상황 모든 회로 주로 길이가 긴 회로
계산 요소 사용전류, 온도 전류, 길이, 전선 저항
기준 방식 허용전류표 참고 % 전압강하율 기준
공식 예시 I ≤ 허용전류 ΔV = 2 × I × L × R

암기법: 외우는 문장

두 조건을 쉽게 구분하는 암기문장을 알려드립니다.

“허용은 뜨거워서, 강하는 멀어서”

  • 허용전류 → 열 때문 (과열 방지)
  • 전압강하 → 거리 때문 (길어질수록 전압 손실 큼)

또는

“허용은 열, 강하는 길”

간단하지만 문제 풀 때 생각나는 문장입니다.


기출문제 실전예시

[2022년 전기기사 필기]
전선의 굵기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1. 부하전류에 따른 허용전류
  2. 전압강하율
  3. 부하설비의 역률
  4. 부하전류에 따른 온도상승

정답: 3번

역률은 전선 굵기 계산 조건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.


실전 팁 요약

  • 전선 굵기 계산은 두 가지 조건 중 더 큰 굵기를 선택
  • 시험 문제에서는 “두 조건 중 적절하지 않은 것” 유형이 자주 등장
  • 전기설계 실무에서는 길이가 긴 회로는 전압강하 조건이 더 우선되는 경우도 많음

다음 글 예고

변압기 손실 공식 총정리: 철손, 동손, 부하손 암기법까지 정리


반응형